CS

·CS
프로세스 동기화란 프로세스들 사이의 수행시기를 맞추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프로세스들 사이의 수행 시기를 맞춘다는 의미는 또 크게 2가지 뜻으로 쓰입니다. 1. 실행 순서 제어를 위한 동기화 : 특정 조건이 충족되어야만 프로세스가 실행을 이어 나간다. writer 프로세스와 reader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 중이라고 가정할 때 두 프로세스는 아무 순서대로 실행 돼서는 안된다. reader 프로세스는 ‘book 안에 값이 존재한다’ 는 특정 조건이 만족 되어야만 실행을 이어나갈 수 있다.2. 상호 배제를 위한 동기화 : 공유 자원에 대한 동시 접근을 방지하는 것.아래 와 같이 프로세스 A,B가 존재합니다.프로세스 A ( 계좌 잔액을 읽음 → 읽어 들인 잔액에서 2만원을 더함 → 더한 값을 저장)프로세..
·CS
웹 요청과 응답의 기본? HTTP! 현대의 웹 요청과 응답에는HTTP라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 라는 규칙이 적용되어서 사용되고 있습니다.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데이터 교환 방법을 정리한 것인데, 이러한 HTTP에는 3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1. 단방향성2. 비연결성3. 무상태성 위 3가지 특징 중, 저는 3번째인 무상태성(Stateless)에 집중해서 설명을 하려고 합니다. 무상태성이라는 말은 그냥 들으면 무슨 말인지 이해가 잘 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고저도 학부시절 여러번 들었지만,그때마다 " 아 그냥 상태를 갖지 않는다는 말이구나 " 라고만 이해하고 넘어갔던 기억이 있기 때문입니다 😂 무상태성(Stateless...?)무상태성은 간단하게 말하면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다..
월월월월2
'CS'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