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ra

·Infra
들어가기 전에이번 프로젝트에서는 "MSA를 적용해서 해보자" 라는 이야기가 나왔을 때, MSA가 무엇인지조차 몰랐다. 그래서 MSA에 대해 찾아보고, 알아보았는데 이미 많은 회사들이 MSA로 전환을 시도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MSA의 기본 개념은 간단하다. Micro Service Architecture 라는 이름 그대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수의 독립적인 서비스들의 집합으로 구성하는 것" 이다. MSA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글을 참고하면 된다.https://savingbe.tistory.com/42 [Architecture] 유잔씨의 MSA 이모저모 알아보기들어가기 전에이번 프로젝트는 MSA 구조로 하자!! 라는 말이 나왔을 때 MSA가 뭐야?? 라는 생각부터 들었다. 계속 공부해도 이렇..
·Infra
들어가기 전에이번 프로젝트는 MSA 구조로 하자!! 라는 말이 나왔을 때 MSA가 뭐야?? 라는 생각부터 들었다. 계속 공부해도 이렇게 모르는게 많다니. 그래도 일단 모르면 공부해서 적용 해야지 뭐 어떡할거야!!! 라는 마인드를 작창했기에, MSA가 무엇인지 부터 낱낱이 파헤져보고자 한다. MSA 란?MSA란 Microservice Architecture 의 줄임말로, 간단히 정의하자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수의 독립적인 서비스들의 집합으로 구성하는 것" 이다. Martin Fowler는 MSA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In short, the microservice architectural style is an approach to developing a single application as..
·Infra
들어가기 전에이번 프로젝트에서 AWS S3를 이용해 이미지를 업로드하고, 그 URL을 DB에 저장하여 이미지를 사용해보았다. 이때 URL을 그대로 사용하면 내 버킷의 이름이 노출되므로, Cloud Front를 이용해 보안을 높여보았다. CloudFront란 AWS에서 제공하는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서비스이다.그럼 먼저 CDN이 무엇인지 알아보자.CDN 이란?CDN은 지리,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사용자에게 캐싱을 통해 좀 더 빠른 속도로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사용자가 원격지에 있는 서버(Origin Server)로 부터 Content를 다운 받을 때 가까이 있는 서버에서 받는 것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기에, 사용자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Cache Serv..
·Infra
서론 지금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서, WebRTC를 이용한 음성+화상을 주고받을 수 있는 원격 방을 만드는 매커니즘 구현을 담당하게 되었다. WebRTC를 실제로 구현하기 위해 공부해본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WebRTC 기술을 실적용하기 위한 각종 서버, 플랫폼 등은 아주 다양한 편이다. 어떤 것을 사용해야 프로젝트의 기한을 맞출 수 있을까 고민하던 참에, WebRTC를 기반으로 한 실시간 화상통화 구현을 도와주는 플랫폼, openVidu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 WebRTC를 심도있게 공부하여 처음부터 구현하거나, low-level부터 구축해나가는 건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릴 것 같아, openVidu를 기반으로 기능을 구현하면 좋겠다고 결론을 내렸다.  그런데, 이 openVidu... 2024년 6월에 ..
·Infra
What is Redis?Redis는 데이터베이스다. 사용자 계정, 블로그 게시물, 댓글 등 앱의 온갖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저장한 정보를 나중에 쿼리해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다른 데이터베이스와 같다.그럼 다른 데이터베이스가 아니라 Redis를 사용하는 이유는?💡 레디스는 빠르다!레디스가 빠른 이유 3가지1. 모든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된다.대부분의 데이터베이스는 정보를 컴퓨터의 메모리와 하드 드라이브에 저장메모리의 데이터는 빠르게 액세스 할 수 있지만 하드 디스크의 데이터를 액세스하는 건 비교적 느리다.레디스는 하드 디스크에 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모든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 → 그래서 비교적 빠르게 접근그렇다고 항상 좋은건 아님→ 컴퓨터의 메모리 크기보다 더 큰 데이터셋을 가지고 있..
·Infra
안녕하세요 정민입니다 ! Nginx에 대해 찾아보던 와중 리버스 프록시 기능을 한다는걸 알게되었습니다. 어디서 많이 들어본 단어이지만 정확히 알지 못해 이번 기회에 공부해보았습니다. 프록시(Proxy)란 ?프록시의 사전적 정의는 "대리"입니다. 이 의미 그대로, 프록시 서버는 어떤 두 대상 사이에서 중계 역할을 합니다. 프록시는 크게 포워드 프록시와 리버스 프록시로 구분됩니다. 포워드 프록시 (Forward Proxy) 간단히 말해, 포워드 프록시는 클라이언트의 신원을 감추는 중계 역할을 합니다. 위 사진을 참고하면, 클라이언트는 프록시에 연결하고, 프록시는 최종 목적지인 서버까지 안내합니다. 세 명의 클라이언트는 모두 중앙에 있는 프록시에 연결되며, 요청은 클라이언트가 보냈지만 서버는 누가 보냈는지 알..
·Infra
AWS S3란?AWS S3(Simple Storage Service)의 약자로 주로 파일 서버로 사용된다.  AWS S3의 이점확장성(Scalability)파일 서버는 트래픽이 증가함에 따라 서버 인프라 및 용량 계획을 변경해야 하는데, S3가 확장 및 성능 부분을 대신 처리해준다.내구성(Durability)여러 영역에 여러 데이터 복사본을 저장하므로 한 영역이 다운되더라도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고, 복구가 가능하다.  어떻게 이미지 업로드를 할 수 있을까?클라이언트에게 MultipartFile로 이미지 파일을 받는다.이를 S3로 업로드하고, 이 S3에서는 이미지를 접근할 수 있는 public URL을 반환해준다.이 URL을 통해 이미지 어디서나 접근하고 다운로드 할 수 있다.이 URL을 DB에 저장하여..
월월월월2
'Infra' 카테고리의 글 목록